자동차에서는 시트열선과 타이어 있는 쪽에서 깜짝놀랄만큼의 전자파(60배까지)가 방출됩니다. 실제 전자파를 측정해보고, 그 대책과 각종 자동차(일반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내부의 전자파를 생각해봅니다.
#엑스블루, #전자파, #블루라이트, #맨발, #맨땅, #전자파차단, #화학물질과민증, #전자파과민증, #어싱, #전자파측정기, #수면장애, #불면증, #블록쿠션, #가솔린, #전기차, #하이브리드, #Bloc Cushion, #지아이언, #Giron 전자파, 블루라이트, 어싱(Earthing), 일반건강 등에 대해, 외국의 정보을 항상 제일 먼저 번역/소개. 재미, 상식, 건강 --- 3가지를 항상 추구하겠습니다. 제 글과 함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짐을 꼭 체험하시기를... www.xblue.co.kr 자동차에서는 시트열선(겨울철 추울때 자주 사용하는...)과 타이어 있는 쪽에서(앞자리는 발판 쪽, 뒷자리는 엉덩이 쪽), 수십배의 전자파가 방출됩니다. 매일매일 수십분 ~ 수시간 이용하는 자동차를 감안하면 대책이 분명 필요해 보입니다. 좌석(시트) 쪽은 전자파 차단 방석 블록쿠션 으로, 발판 쪽은 지아이언(Giron)이나 자기장차단호일 등으로 대책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포스팅한 내용을 종합하여, 자동차(하이브리드, 전기차 포함) 내부의 전자파 노출 수준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또한 중간 중간 실험한 내용을 근거로, 우리의 건강을 위해 자동차에서의 전자파 대책을 제안합니다. (기초내용) 2002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는 전자파를 발암물질 그룹 2B(발암가능물질)로 분류했고, 3~4mG 이상의 일반 전력주파수 자계에 상시 노출되면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 이상 증가한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53만 가구를 대상으로 연구한 스웨덴 카로린스카 연구소 보고에 따르면 2mG 이상 전자파에 장기 노출되면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7배 ▲성인급성골수염 1.7배 ▲성인만성골수백혈병이 1.7배 증가하며 3mG 이상 장기 노출되면 소아백혈병 발병률은 3.8배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됐습니다. 이에 스웨덴(1999년)의 전자파 인체안전기준은 2mG로 설정됐다. 또한, 전자파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최근에는 늘...